거실 우물천장 조명박스 깊이
거실 우물천장을 만들고 그 테두리에 조명박스를 만들어 간접조명을 시공할 때 참고해야할 부분이에요.
빛이 빠져나올 틈의 높이인데요.
그림을 볼게요.
'천장'부터 '조명기구'가 위치한 곳의 '턱' 까지 높이(깊이)에 따라 빛의 양이 달라지고, 조도와 분위기가 달라지는걸 볼 수 있습니다.
15cm 이상을 권장한다고 하는데요.
한국 아파트는 천장 석고까지 대략 2.3~2.4 미터이고, 그 위로 콘크리트 부분까지 2.5~2.6 미터로 여유가 10cm~20cm정도. 그다지 높지 않아요.
그마저도 내부에 스프링클러 배관, 열교환환기장치 배관, 시스템에어컨배관, 주방후드 배관 등등으로 여유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가 까다롭죠. 이 배관들을 다 피해서 우물천장을 해야 해요.
그래서 권장하는 15cm 를 확보하기 까다로울 수 있는데요.
그래서 어느정도 현장상황에 맞게 타협하면서 시공을 해야할거에요.
주방 식탁과 공간 넓이
6인용 식탁을 놓을 때, 어느정도 공간이 필요할까요?
성인이 앉는 걸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권장된다고 합니다.
앉는 사람의 동선과 사람이 의자를 넣고 앉았을때와, 의자를 빼고 일어날때 모두 고려 된 경우에요.
주방 싱크대 너비와 간격
싱크대 상판과 상부장 사이의 거리.
싱크대 상판과 후드 사이의 거리.
11자나 ㄷ자 로 주방 가구를 배치할때, 가구와 가구사이의 통로의 폭(width).
화구(인덕션)과 싱크볼 사이의 거리.
등을 고려하는데요.
또한 화구(인덕션) 아래에 서랍을 두는 선택을 많이하게 되는데요.
3단~4단 서랍과 같은 높이가 촘촘한 서랍으로 할경우, 아이들은 서랍을 계단삼아 올라갈 수도 있어요.
위험할 수 있으니, 화구 아래는 서랍자체의 높이가 높은 2단서랍을 하여, 계단으로 삼지 못하게 하는것도 방법일 듯 합니다.
주방 천장 조명의 설치 지점
주방 조명이 어디에 설치되느냐에 따라 만족도가 높아지기도 하고, 낮아지기도 합니다.
조리할 때 조명빛이 뒤통수에 떨어지면, 잘 안보이겠죠.
반대로 조리대와 사람 사이로 및이 떨어지면 잘 보일것이구요.
그런데, 돌출형 조명기구를 이렇게 설치하면 상부장 문을 열때 방해가 될수도 있어요.
그래서 다운라이트나 매입형 라인조명 등으로 설치해야 유리할 것 같습니다.
'집에서 살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콘크리트 벽 뚫기 (0) | 2021.10.11 |
---|---|
세탁실 인테리어 : 삼성 세탁기/건조기 설치 규격 (0) | 2021.05.05 |
비스포크 키친핏 냉장고 설치가이드 (0) | 2021.04.25 |
인테리어 쇼 : 주방편 (0) | 2021.04.25 |
아덱스 줄눈 색상표 (0) | 2021.04.25 |